2020. 11. 17. 10:10ㆍDIY/The K9 (RJ)
태어나서 스맛폰 루팅을 첨 해 봤다. 더 K9은 순정 내비게이션이 12.3인치의 시원한 대화면에서 안내도 정확히 잘해 준다. 무엇보다 순정 내비를 써야지 헤드업과 연동된다. 근데 간혹 티맵을 써야 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스맛폰의 화면을 순정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크게 보기 위해서 이 짓거리를 시작했다. 특히 개인적으로 티맵보다는 차 안에서 유튜브를 보고 싶은 게 미러링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이다.
순정 상태에서 안드로이드 오토 기능은 카카오내비, 네이버 뮤직 등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나 같은 경우 미러링을 하기 전에는 순정 안드로이드 오토 기능은 거의 쓰지 않았다.
미러링을 하기 위해서 루팅된 스맛폰만 이게 가능하다. 그래서 중고나라에서 갤럭시 S6 공기계를 저렴하게 구입했고 루팅을 하게 되었다. 처음 해 보는 짓이라 생각보다 어려웠다. 정보가 여기저기 막 흩어져 있고 블로그 글도 일부 자세하지 않고 그래서 고생했다. 무한 부팅을 한 세 번 겪고 성공했다는...
이 포스팅에서는 갤럭시 S6를 기준으로 루팅 과정을 설명한다. 다른 기종은 검색하면 다 나온다.
절대로 본인이 평상시 사용하는 정상 폰으로 루팅 하지 말 것. 삼성 폰의 경우 녹스 보안이 깨지면서 AS도 안되고 삼성 페이 이런 거 다 안된다. 집에 안 쓰는 폰이나 정 필요하면 중고나라에서 저렴한 놈으로 구입해서 루팅 해라. 단, 안드로이드 버전이 5.0 보다 낮으면 안드로이드 오토 자체를 쓸 수 없다.
우선 인터넷 검색으로 비교적 잘 설명된 포스팅 2개를 정독하시오.
루팅 방법
1. 스맛폰 공장초기화 (가능하면 배터리 완충 상태에서 작업 권장)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볼륨(상)+전원버튼+홈버튼볼륨(상)+전원버튼+홈버튼을 동시에 5초 이상 누르면 파란 화면이 나오고(버튼에서 손 뗌)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된다.
Wipe data / factory reset을 선택해서 공장초기화 실행. 초기화 완료 이후 Reboot system now를 선택해서 스맛폰을 재부팅시킨다. 부팅에 시간이 꽤 오래 걸린다. 참고 기다린다.
2. 스맛폰 개발자 옵션 활성화
설정 --> 디바이스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를 연속 7번 이상 빠르게 터치하여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3. OEM 잠금 해제 활성화
이거 꼭 해야 하는 과정인데 (이거 안 하면 루팅 실패, 벽돌, 무한 부팅 발생). 활성화시킨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가면 OEM 잠금 해제가 있어야 하는데 없다. 뭔가 해서 또 검색했더니 갤럭시 S6 기종은 안드로이드 버전이 낮을 때 출시된 모델이라 이 옵션이 아예 없다고 한다. 그러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패스.
4. Magisk 다운로드
링크한 포스팅 참고 글에 다운로드 링크가 있으니 해당 파일을 찾아서 다운로드한다. 편의를 위해서 아예 여기에 첨부한다.
링크한 포스팅을 보면 다운로드한 파일을 스맛폰 외장메모리에 복사하라고 되어 있다. 문제는 S6 폰에는 외장메모리가 없다. 그래서 걍 내장메모리에 복사하고 나머지 과정을 시도했더니 TWRP 화면 모드에서 아예 내장메모리는 아예 인식이 안돼서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그 결과 스맛폰이 무한 부팅에 빠지고 말아서 이거 다시 순정 펌웨어로 복구하느라 또 검색하고 원복 하고 그랬다. 이제 실패하지 않는 방법을 설명하니 잘 따르도록. 일단 다운만 받아 놓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자.
5. Odin 다운로드
6. TWRP 커스텀 리커버리 다운로드
링크한 포스팅에서 TWRP 커스텀 리커버리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S6 기종에 맞는 파일 중 확장자가 .tar로 끝나는 파일이다. 내가 사용한 파일은 KT용 S6였기 때문에 해당 통신사용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 파일은 사이즈가 커서 여기에 첨부되지 않는다.
7. 스맛폰 제조사에서 공급한 USB 케이블(데이터용 케이블)에 맞는 USB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대부분 자동 인식이 되고 자동으로 드라이버 설치가 되긴 한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 해주자. 이건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 찾으면 나온다.
8. Odin 실행
노트북에 다운로드한 Odin 파일의 압축을 풀고 실행시킨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야 한다.
9. 다운로드 모드 진입
스맛폰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볼륨(하)+전원 버튼+홈버튼볼륨(하)+전원버튼+홈버튼을 동시에 3초 이상 누른다. 그러면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진입된 상태 그대로 일단 둔다.
10.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한 스맛폰을 USB 케이블로 노트북과 연결한다. 그러면 이미 실행한 Odin 프로그램 화면에서 COM 포트가 자동으로 인식되고 Log 창에 Added!! 라고 메시지가 뜬다. 이후 Odin 화면 우측에 AP를 체크하고 여기에 다운로드한 TWRP용 리커버리를 추가해 준다.
11. Odin의 Option 탭을 클릭하여 Auto Reboot를 체크 해제시킨다.
12. Odin의 Start를 클릭하여 스맛폰을 플래싱 시킨다. 성공하면 화면에 Pass라고 녹색으로 뜬다. Start를 누르면 채 5초가량 후에 바로 끝난다.
13. Odin 화면에 Pass가 뜨면, 노트북과 스맛폰을 연결하고 있는 USB 케이블을 분리한다. 그리고 스맛폰 전원을 끈다. 그냥 안 꺼진다. 강제 전원 끄기를 해야 한다. 볼륨(하)+전원버튼볼륨(하)+전원버튼을 동시에 7초 이상 꾹 누르고 있으면 폰 전원이 강제로 꺼진다. 전원이 꺼지자마자 곧바로 14번의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해야 하므로 잽싸게 14번 설명에 의한 버튼 3개를 눌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늦으면 그냥 폰이 정상적으로 부팅되고 만다. 이럴 때 오딘으로 TWRP 플래싱을 다시 해야 한다.)
14. 전원이 꺼진 폰을 다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시킨다. 볼륨(상)+전원버튼+홈버튼을 동시에 5초 이상 꾹 누르고 있으면 화면에 TEAMWIN이라는 로고 화면이 뜬다. 설치했던 TWRP로 인해서 이런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Swipe를 우측으로 밀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간다.
15. Wipe 버튼 --> Format Data --> yes 입력하고 체크 버튼을 터치한다.
16. 포맷이 완료되면 화면 상단 창에 Successful이라고 뜬다. 이게 안 뜨면? 문제지 뭐. 이런 경우는 거의 없는 듯하다.
**경고: 포맷 완료 후 화면 우측 하단의 Reboot System 버튼은 절대로 누르지 마시오. 이거 누르면 무한 부팅 걸림. 또한 TWRP 초기 화면의 Reboot --> System 버튼 역시 절대로 누르지 마시오. 동일하게 무한 부팅 걸림.
17. 여기서부터가 내가 개고생 하면서 찾아낸 방법이니 잘 따라오시게. S6 기종이 외장 메모리가 없기 때문에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만일 타 기종이고 외장 메모리가 있는 폰이라면 이거는 생략하고 링크한 포스팅의 방법을 따르면 된다.
18. 포맷 완료 후 Back 버튼을 눌러서 TWRP 초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19. 아래 링크 글에 나온 ADB Sideload 관련 프로그램을 2개 다운로드한다. Platform 파일은 특정 폴더에 압축을 풀어 둔다.
20. 지금 폰은 TWRP 초기 화면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폰을 노트북과 USB 케이블로 연결한다.
21. TWRP 초기 화면에서 Advanced 버튼을 터치한다. 바뀐 화면에서 ADB Sideload를 터치하고 화면 하단의 Swipe를 우측으로 밀면 ADB Sideload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22. 윈도우의 명령어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윈도우 10의 경우 WindowsPowerShell 열기(파일탐색기 --> 파일)를 하면 된다고 링크 포스팅에서 설명이 되어 있길래 이걸 사용해 봤는데 안된다. 그냥 윈도우 cmd 명령어 프롬프트를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되더이다.
23. 도스 명령어 프롬프트 화면에서 아까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었던 Platform 파일이 위치한 폴더로 이동한다. 반드시 압축을 푼 폴더로 이동한 상태여야 한다.
24. 명령어 프롬프트 화면 창에 아래와 똑같이 타이핑한다. adb sideload 뒤의 빨간색 문자열은 아까 다운로드한 파일을 확장자까지 토씨 하나 틀리지 않게 똑같이 타이핑해야 한다.
adb sideload RMM-State_Bypass_Mesa_v2.zip
25. 타이핑을 하고 엔터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해당 파일이 스맛폰에 설치된다. 성공하면 노트북 명령 프롬프트 창에는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뜬다.
이 프로그램은 무슨 용도인지 모른다. 그냥 하라고 하니까 했다.
스맛폰에는 아래와 같이 Successful이라고 나타난다.
* 이걸 성공하고 곧바로 4번에서 다운로드한 Magisk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했더니 Failed 라고 뜨더군. 이럴 경우 TWRP 초기화면으로 돌아갔다가 21번 과정을 다시 거쳐서 ADB Sideload 명령어 모드로 진입하고 설치하면 된다.
26. 명령어 프롬프트 화면에 아래와 같이 타이핑한다. 역시 빨간색 문자열은 다운받은 파일명 그대로 타이핑하고 엔터.
adb sideload Magisk-v21-2.zip
27. 노트북 명령 프롬프트 화면에 이렇게 뜨면 Magisk가 스맛폰에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스맛폰에는 아래처럼 Successful이라고 뜬다.
28. 이제 거의 다 왔다. 좀만 더...
29. ADB Sideload를 통한 설치가 끝나면, 화면 하단의 Reboot System을 누른다. 그럼 폰이 꺼졌다가 부팅된다. 만일 이전 과정에서 뭔가 잘못된 게 있다면 무한부팅이 걸리던지 벽돌이 되던지 할 거다. 그럼 순정 펌으로 복구하고 다시 첨부터 루팅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30.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면 루팅에 성공이다. 앱 화면으로 이동해서 Magisk 아이콘이 보이면 루팅이 성공적으로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순정 펌 복귀 방법
루팅 중 문제가 생겼다 싶으면(무한부팅, 벽돌 등) 제조사 순정 펌웨어를 구해서 폰을 복구해야 한다. 아래 링크 참고.
1. 순정 펌웨어 다운로드
순정 펌웨어는 여기저기 많이 있다. 근데 다운로드 속도가 겁나 느린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정확히 폰 기종에 맞는 펌웨어 찾기도 복잡하다. 여기 간단한 방법이 있으니 걱정 마시라.
2. SamFirm 파일 다운로드
3. SamFirm 파일의 압축을 풀고 실행 파일을 실행시킨다.
4. 폰 기종에 맞는 모델을 입력한다. Model에 정확한 모델명(통신사 알파벳까지 들어가도록)을 입력하고, Region에는 해당 통신사 이름을 영어 약자로 입력한다. SKC, KTC, LUC 이렇게 말이다. 두 개 항목을 입력하고 아래 Check Update 버튼을 클릭하면 알아서 해당 순정 펌웨어를 찾아준다. (당근 노트북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함)
5. 순정 펌웨어가 찾아지면 Download 버튼을 눌러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가 끝나고 Decyrption finihsed라는 문구가 화면 하단 창에 떠야 완전히 끝난 거다. 해당 문구를 확인하면 다운로드한 파일의 압축을 풀어 둔다.
6. 아래 링크 클릭해서 설명된 방법으로 복구
7. 6번 링크 글에 잘 설명되어 있다. 루팅 할 때 사용했던 Odin을 사용해서 복구하면 된다. 이 과정은 쉽고 링크 설명대로 따라 하면 된다.
참고로 무한부팅 상태라면 일단 폰 전원부터 강제로 꺼야 한다. S6는 배터리 일체형이라 배터리 분리하는 기종이라면 배터리는 빼내서 전원 끄면 되지만 이 기종은 이것도 안된다. 나도 첨에는 당황했었다. 강제 전원 종료는 볼륨(하)+전원버튼을 동시에 7초 이상 꾹 누르면 전원이 꺼진다. 전원이 꺼진 후에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고 Odin을 실행해서 순정 펌으로 복구하면 된다.
안드로이드 오토 미러링
미러링 방법으로 예전에는 AA Mirror, AA Unlock을 이용한 방법을 많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 툴이 2017년부터 업데이트가 끊겼고 앱 자체의 오류도 있어서 지금은 구닥다리 방식이다.
지금은 Screen2 Auto를 이용한 방식이 대세다. 불곰국 형님이 만들었나 보다.
1. 아래 링크한 글에서 파일 다운 로드
Phenotype Patcher와 Screen2Auto 이렇게 2개의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 파일들은 스맛폰 앱 프로그램이다.
2. 다운로드한 파일을 스마트폰으로 옮긴다. 내장메모리든 어디든 상관없다.
3. 폰의 "내 파일" 또는 파일 탐색기 앱을 이용해서 다운로드한 앱 설치 파일이 위치한 폴더로 이동한다.
4. 2개의 앱을 폰에 설치한다. 설치 과정 중 뜨는 권한 설정은 무조건 허용해 준다.
5. Screen2Auto 앱을 실행하여 적절히 환경설정을 한다.
6. Phenotype Patcher 앱을 실행하여 환경설정을 한다.
7.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안드로이드 오토 앱을 설치한다. 또한 카카오 내비 역시 설치해 준다. 안드로이드 오토는 기본적으로 카카오 내비만 현재 기본 탑재용 앱으로 되어 있다. 티맵은 미러링 해서 사용해야 한다.
8. 안드로이드 오토 앱을 실행하여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환경설정 역시 적절히 해 준다.
드디어 차에서 미러링을 하기 위한 모든 사전 작업이 끝났다.
이제부터는 차에 가서 루팅 된 폰을 차량 USB 포트와 케이블로 연결해서 순정 디스플레이 셋업 화면의 안드로이드 오토를 실행하면 순정 화면에 카카오 내비 화면이 뜨는데 백을 터치하면 순정 화면에 Screen2Auto 아이콘이 보인다. 이 아이콘을 터치하면 내 폰이 그대로 순정 화면에 미러링 되어 나타난다. 티맵도 사용하고, 유튜브도 시청할 수 있다. 양방향 터치가 다 작동한다.
*물론 루팅 된 폰이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 있으면 말짱 꽝이다. 별도로 유심을 구입하고 데이터 전용 요금으로 써도 되지만 뭐 차에서 얼마나 쓴다고. 루팅 된 폰을 자기가 갖고 있는 정상 스맛폰의 모바일 핫스팟 기능으로 연결해서 필요할 때 쓰면 된다.
절대 질문 금지. 나이 오십 넘어서 이런 거 하려니 머리에 쥐 나더이다.
즐 안드로이드 오토 하시길.
'DIY > The K9 (R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K9 - 센터 스피커 교체 DIY (0) | 2021.01.04 |
---|---|
더 K9 - 배터리 충전 작업 후기 (0) | 2020.12.29 |
THE K9 - 와셔액 라인에 체크 밸브 달기 (1) | 2020.12.24 |
THE K9 - 블랙박스 상시/ACC 배선 정리 작업 (0) | 2020.12.24 |
더 K9 -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장착 DIY (0) |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