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18. 19:57ㆍDIY/i40
지난 7월 태국 치앙마이 여행으로 한 달여 기간 동안 차를 세워 놓았었는데 역시 귀국 후에 확인해 보니 차 배터리가 아예 계기판 조명조차 들어오지 않는 상태로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버렸었다.
보험사 긴급출동을 불러서 시동을 걸고 배터리를 살려 놓고 타면서도 불안불안하더니만 이윽고 또 배터리가 방전돼 버렸다. 차 트렁크에서 점프선을 꺼내고 아내 차를 끌고 와서 시동을 걸었지만 이렇게 두 번씩이나 배터리가 방전되면 이 배터리의 수명은 이제 다 했다고 보는 게 맞다.
사공이 디젤은 순정으로 68A 배터리가 들어가는데 이 차는 중고로 가지고 올 때 이미 로케트 배터리 80A 짜리였다. 동호회를 보더라도 많은 운전자들이 80A 배터리를 많이 사용한다.
*현재 장착 중인 로케트 배터리는 2019년 7월 제조된 녀석이니 딱 3년 사용한 셈이다.
*IBS(배터리 센서)가 달린 현기차라면 배터리 용량을 키워도 ECM(=ECU)에서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 사공이 역시 스캐너로 데이터를 확인하면 배터리 용량이 68A 짜리로 나온다. 이 문제 때문에 배터리 용량을 키워도 아무런 소용이 있다, 아니다 있다는 얘기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나도 모른다. 그냥 80A 배터리에서도 차에 전혀 문제가 없었고 또한 68A 짜리 배터리는 시중에서 구하기도 어렵고 굳이 순정을 고집한다면 모비스에서 JOLA 비싸게 구입하면 된다. 70A 용량 역시 로케트 배터리에서는 아예 제품 자체가 없기도 하다. 그렇다면 대안은 80A 짜리지 뭐.
구입한 배터리는 델코 DF80L이다. 택배비 1만 원을 포함해서 61,580원에 구입. 로케트 배터리와 델코는 가격대가 비슷하고 아트라스, 엑스프로, 솔라이트 등은 조금 더 저렴하다. 솔라이트는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거 반대올시다.
배터리 교체 작업이야 설명하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을 정도로 쉽다.
마이너스 분리 --> 플러스 분리 --> 배터리 고정 브라켓 12mm 볼트만 풀면 된다.
*배터리 분리/장착 시에는 이것만 기억하시오. 뺄 땐 빼기(마이너스 단자)부터, 더할 땐 더하기(플러스 단자) 부터.
교체 후(아래)
앞으로 4 ~ 5년간 무탈하게 버텨다오.
끝.
'DIY > i40' 카테고리의 다른 글
i40 - 브레이크 부스터 교체 작업 (1) | 2022.09.20 |
---|---|
i40 - 브레이크 부스터 교체를 위한 부품 구입 완료 (0) | 2022.09.19 |
i40 -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일명 하이드로백;Hydrovac) (0) | 2022.09.14 |
i40 - 부스트 압력 센서 교체 DIY (60 ~ 70 km 울렁거림 증상) (0) | 2022.09.13 |
i40 - 운전석 A/B 필러 인근 잡소리를 잡자. (0) | 2022.09.06 |